한글 활자 분석 방법
[강사]…이용제
[인원]…25명
[일정]…일요일 13:30~15:30
[대상]…한글 활자를 그려봤거나 그리는 중인 사람 혹은 관련 연구를 하는 사람
[형태]…강의
[시간]…2시간*1회
[준비]…개인 필기구
수업 목표
활자 분석은 물리적인 부분과 시각적인 부분으로 구분해야 한다.
활자의 물리적인 부분과 시각적인 부분을 통해서 활자 외양을 평가할 수 있다.
활자의 외양은 인상을 결정한다.
커리큘럼
0. 전제
우리는 활자를 보면서 어떤 인상을 받는다.
보편적인 부분과 개별적인 부분이 공존한다.
우리가 느낀 인상의 원인을 찾기 위해서 분석한다.
주관을 객관화하기 위한 기초 과정이다.
1. 분석 방식
글자체의 첫인상은 판면에서 결정된다. (본문용 활자의 경우)
판면의 인상을 형성하는 세부 원인을 찾기 위해서,
글줄과 낱글자 낱자 획을 살펴봐야 한다.
이때 글자의 물리적인 면적과 시각적인 공간을 분리해서 살펴야 한다.
특히 시각적인 공간에 대한 판단은 활자의 실제 크기에서 해야 한다.
2. 분석 예시: 초기 최정호의 활자
—삼화인쇄소 명조: 김태룡 법창에서의 사색 1967년 5호 활자 10.5포인트
—삼화인쇄소 고딕: 임창섭 한국식물도감 화훼류1 1967년 5호 활자10.5포인트
원색 생물학습도감 1964년 6호 활자8포인트
—동아출판사 명조: 김슬기 새백과사전 초판본 1957년 6.5포인트 활자
—동아출판사 고딕: 김수현 백만인의 의학 1959년 5호 활자 10.5포인트
—보진재 명조: 현승재 김교신 신앙저작집 제2권 1965년 9포인트 활자
—보진재 고딕: 박진현 재정회계 용어사전 1971년 5호 활자 10.5포인트
—동아일보 제목명조: 이수현 동아일보 1970년 제목 활자
3. 분석 단위
획:
부리 맺음 꺾임 등의 모양
획에서 부리와 맺음의 비례
획의 굴곡
표현의 양상(붓의 영향 정도)
낱자:
낱자의 가로획 세로획 등의 대비
획의 이음과 붙음의 표현
홀자 기둥과 보, 보와 짧은기둥 비례
낱글자:
결구(닿자와 홀자의 결합)
면적의 윤곽
낱자의 공간
균형:
균형축 기울기
무게중심:
무게중심의 위치
비례:
닿자와 홀자의 크기 비례
민글자와 받친글자의 높이 너비 비례
여섯 모임꼴의 비례
공간배분:
공간의 긴장감
농도
판면의 검기 정도
검기의 균질함
획의 힘:
낱글자의 힘(세기, 강도)
낱글자 안에서 낱자의 힘(세기, 강도)
글줄흐름:
글줄에서 흐름선의 위치
글줄흐름의 질감
글줄의 윤곽
판면:
판면의 질감
판면의 인상